728x90
반응형
아스키코드
컴퓨터는 0과 1로 된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0과 1일을 이용해 텍스트 문자로 나타내야한다.
ASCII는 문자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이진 데이터(0또는 1)로, 혹은 반대로 변환하는 표준 방법이다.
ASCII는 컴퓨터가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흔하게 사용하는 표준코드체계이다.
이 표준에서 숫자 65는 대문자 'A'와 대응된다.
(65를 이진수로 나타내면 1000001)
소문자 'a'의 경우 97로 이진수로 나타내면 1100001로 저장한다.
ASCII의 한계
기본 ASCII코드 표는 7비트만 이용해서 모든 문자들을 나타낸다. 이것은 ASCII 코드로 2^7개, 즉 128개의 문자를 나타낼 수 있다.
확장 ASCII는 8번째 비트를 추가하여 총 256개의 문자를 나타낼 수 있도록한다.
수학코드와 영어 외 다른 언어의 경우는 표준 ASCII에 들어가기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더 많은 문자를 포함할 수 있는 유니코드(Unicode)가 생겨났다.
유니코드는 100만개 이상의 문자들을 나타낼 수 있는 문자 인코딩 표준이다.
유니코드의 첫 128개의 문자는 ASCII의 128개의 문자와 동일하게 호환된다.
728x90
반응형
'CS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기초] 16진수(hexadecimal) (0) | 2021.08.20 |
---|---|
[컴퓨터 기초] 32bit 컴퓨터와 64bit 컴퓨터 차이점 (0) | 2021.08.17 |
[컴퓨터 기초] 2진수(binary) (0) | 2021.08.17 |
[컴퓨터 기초] bit, byte (0) | 2021.08.17 |
[컴퓨터 기초] 하드웨어 (0) | 2021.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