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KH정보교육원

[KH정보교육원 당산] 9일차 ( interface 및 첫번째 테스트)

Dahoon06 2021. 3. 22. 11:12
728x90
반응형

버블 정렬 배우지도 않은게 시험에 나왔다...이건 뭔가...

 

[자바] 버블 정렬

 

june-17.tistory.com

문제) 5개의 정수를 입력받아 첫번째자리와 마지막자리의 수의 합을 구하기.

       조건 : 주어진 패키지명,클래스명을 사용하고 코드는 메인메소드 안에서 작성하기.

               5개의 정수는 배열로 받는다. => 반복문을 사용하여 만들기

               버블정렬의 오름차순으로 값을 정렬해 놓는 반복문 만들기

               정렬된 값을 반복문을 사용하여 출력하기

               첫번째번호와 마지막번호의 합을 구하는 출력문 만들기 

 

               

 

 

 

메인 클래스 : 하나의 프로젝트에 1개만 존재, 프로젝트 실행 시 가장 먼저 호출되는 클래스

일반 클래스 : 생성자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서 다수의 클래스를 선언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객체를 생성하여 사용하며 클래스 내부에는 변수/ 메소드를 추가 선언할 수 있다.

interface : 다형성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 구현(implements)을 받아야하고 다중 구현이 가능하다.(인터페이스끼리 다중상속)

추상 클래스 : 일반 클래스의 기능과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혼합해 놓은 것 => 상속(extends)을 받고 다중상속이 안된다.

 

상속 : 부모클래스의 기능(메소드,변수)을 자식에게 그대로 물려주는 개념

구현 : 기능(메소드)을 구현받는데, 주로 동일한 메소드명을 이용하여 다양한 성질(실행내용)을 표현할때 사용.

 

인터페이스에 선언된 값들은 상수로써 변하지 않는 값들이다.

또한 인터페이스는 생성자와 인스턴스 생성이 불가능하다.

A_Class에 interface의 test메소드 오버라이딩
B_Class에 interface의 test메소드 오버라이딩
MainClass
실행값

인터페이스의 사용 목적 : 메소드에 대한 다형성, 코드의 유연성, 유지보수의 편리

각각 다른 클래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