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IP 주소를 통해 통신하는 과정
여러 서브 네트워크 속에서 라우터에 있는 라우팅 테이블의 IP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고 또 전달핸가며 라우팅을 수행하며 최종 목적까지 패킷을 전달한다.
통신 장치에 있는 라우팅 테이블의 IP를 통해 시작 주소부터 시작하여 다음 IP로 계속 이동하는 라우팅 과정을 거쳐 패킷이 최종 목적까지 도달하는 통신을 의미
한 단계씩 건너뛰는 것을 홈바이홉 라우팅이라고 부르고, 이 때 인접한 라우터 Next Hop이라 부른다.
넥스트 홉 지정 방식
- 다음 라우터의 IP를 지정하는 방법 (Next홉 IP 주소)
- 라우터에서 나가는 인터페이스 지정
- 라우터에서 나가는 인터페이스와 다름 라우터의 IP를 동시에 지정하는 방법
라우터 동작
- 호스트로부터 패킷을 수신
- 수신처 IP 주소로부터 수신처 네트워크 결정
- 라우팅 테이블에서 다음 중계할 라우터, 송신할 인터페이스 결정
- 결정된 인터페이스로 패킷 송신
💡 Hop 이란?
사전적 의미로 '한 발로 깡충 뛰다', '획획 바꾸다' 등의 뜻을 가지는데, 통신망에서 각 패킷이 여러 개의 라우터를 건너가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
통신에서는 컴퓨터 사이의 거리를 통과한 라우터의 갯수로 나타낸다.
이때 사용하는 단위가 홉 (라우터)
라우팅 테이블 (Routing Table)
송신지에서 수신까지 도달하기 위해 사용되며 라우터에 들어가 있는 목적지 정보들과 목적지로 가기 위한 방법 리스트
- 라우터는 출발지와 상관없이 목적지 주소와 라우팅 테이블을 비교해 포워딩 경로를 결정
-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 땐 목적지 주소만 수집
- 패킷이 들어오면 목적지 주소를 확인해 패킷을 넥스트 홉으로 포워딩
-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되는 정보
- 목적지 주소
- 넥스트 홉 IP 주소, 나가는 로컬 인터페이스 (Optional)
게이트 웨이 (Gateway)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기 위하여 거쳐야 하는 지점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 해준다.)
- 하위계층 (1 ~ 3 layer) : 라우터가 게이트웨이 역할
- 상위계층 (4 ~ 7 layer) : 상이한 프로토콜 간의 특수한 변환을 담당하는 복잡한 S/W 를 수행하는 서버를 의미(ex mail gateway)
728x90
반응형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0) | 2023.09.22 |
---|---|
L4 스위치와 L7 스위치 (0) | 2023.09.22 |
프록시 패턴과 프록시 서버 (0) | 2023.09.11 |
[Network] HTTP(1.1 , HTTP/2) (0) | 2021.08.31 |
[Network] HTTP (0) | 2021.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