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풀어내는가에 집중하는 패러다임이며, 프로그램은 함수로 이루어진 것이다. 라는 명제가 담긴 패러다임 💡 패러다임이란? 프로그래밍의 관점을 갖게 하고 코드를 어떻게 작성할 지 결정하는 역할 선언형 프로그래밍이란?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어떻게 할지 표현하고, 선언형 프로그래밍은 무엇을 할 건지를 표현한다. 선언적 방식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명령형 방식으로 어떻게 접근하는가가 먼저 추상화되어야 한다. 선언적 접근 방식의 기저에는 명령형이 깔려있고 추상화 된 것이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작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함수를 작성 부수 효과가 없는 순수 함수를 1급 객체로 간주하여 파라미터나 반환값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참조 투명성을 지킬 수 있다. 부수 효과 (Side Effect) 변수의 값이 변경됨..